고혈압
고혈압
- 혈관 내로 혈액이 순환할 때 받는 압력으로 혈압이 높게 되면 혈관이 손상되고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어 뇌혈관 질환, 심장병, 신질환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킨다.
분류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병원명 | 수축기혈압 (mmHg) | 확장기혈압 (mmHg) |
---|---|---|
정상혈압 | 130 | 85 |
높은정상혈압 | 130~139 | 85~89 |
고 혈 압 | ||
1기(경 증) | 140~159 | 90~99 |
2기(중등증) | 160~179 | 100~109 |
3기(중 증) | 180~209 | 110~119 |
4기(고중증) | ≥ 210 | ≥ 120 |
발생원인
고혈압은 크게 본태성 고혈압과 속발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 속발성 고혈압은 어떤 특정한 질병의 속발증으로 나타나며 경구 피임약 장기복용,만성신장질환, 신혈관환, 갈색세포, 쿠싱증후군, 임신에 속발하여 나타난다. 원인 질환의 치유로 고혈압 제거가 가능하다.
- 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의 95%정도를 차지하며 거의 중년이후에 성인병으로 문제다.
위험 인자로는
- 유전적 소질
- 과도한 스트레스
- 염분의 과다섭취
- 비만과 운동부족
- 흡연과 알콜섭취
증상
- 아침에 머리가 무겁고 후두부가 뻣뻣하며 아프다.
- 조금의 움직임에도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림
- 쉽게 피로를 느끼며 화를 잘내고 불면증이 있음
- 현기증과 귀울림이 있음
합병증
- 협심증, 심근경색증, 관상동맥 경화증
- 박리성 동맥류
- 뇌출혈, 뇌경색 → 뇌졸중(중풍)
- 신부전증
- 망막 세동맥 경화
예방 및 치료법
비약물요법
- 올바른 식사요법
- 저염 식사(1일 1g 이하의 소금 섭취)
- 저지방 식사(거위, 닭고기, 내장류, 조개류는 제한)
- 양질의 단백질과 칼슘을 충분히 섭취
- 풍부한 채소류 섭취
- 자극성 있는 식품 및 가공식품 제한
- 적정 체중 유지와 규칙적인 운동(비만인 고혈압 환자인 경우 4㎏만 감량해도 혈압이 하강함.)
- 운동은
- 1주 3회 이상
- 1회 30분이상 해야하며
- 유산소 운동이 좋다.(걷기,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 금연과 절주
- 스트레스 해소 및 충분한 수면
약물요법
- 경ㆍ중등증 고혈압에서는 비약물 요법을 3~6개월 행하여도 효과가 없으면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 의사의 처방아래 약물을 복용하고 지속적 복용과 관찰이 중요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보건행정과
- 연락처 : 051-665-4797
최근수정일 : 202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