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생활
소홀하기 쉬운 가정에서의 위험요소
- 가구는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배치한다..
- 계단에는 손잡이를 설치한다.
- 손이 닿지 않는 곳은 사다리를 사용한다.
- 전기기구의 코드는 걸어다니는 곳에 설치하지 않는다.
- 과다한 왁스는 위험하다.
- 안정된 속도(천천히)로 걷는다.
- 구두에 걸리지 않도록 바지길이를 적당히 유지한다.
- 엎지러진 물이나 기름은 즉시 닦아낸다..
- 계단에 물건을 놓지 않는다.
- 물건을 운반할 때 시야가 보이도록 한다.
- 층계나 출입이 빈번한 통로는 밝게 한다.
- 어두운 곳에서 더듬거리는 것을 피한다.
-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장난감 및 물건 등은 정리정돈하여 둔다.
- 계단의 위나 아래에 깔판등 미끄러운 것을 놓지 않는다.
- 부서진 마루나 마모된 바닥은 미리 수선한다.
- 무거운 물건을 함부로 들거나 옮기기 위해 무리한 동작 급격한 동작은 돌발적 요통의 원인이 된다.
- 추락사고는 높은 곳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키와 비슷한 곳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가정생활에서의 응급처치

- 가정생활에서의 응급처치 구급상자의 내용물을 파악해 둔다.
- 구급상자의 비치장소는 눈에 잘 띄는 일정한 곳을 정한다.
- 구급상자는 사용후 반드시 제자리에 보관한다.
- 보관장소는 습기가 없는 건냉한 곳이 좋다.
- 언제나 청결을 유지한다.
- 다른 사람이 쓰기 쉽게 항상 정리 정돈해 둔다.
- 약이 떨어진 것은 보충해 둔다.
- 수시 확인하며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교체해 둔다.
중독증상이 있을 때

- 화학 약품이나 가정용 독소를 삼킨 경우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는 우유나 물을 준다.
- 약이나 불명의 독소를 삼킨 경우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 독약통제 센터나 129 긴급구명 안내로 신속하게 연락한다.
- 환자를 토하게 하라는 지시를 받지 않는 한 환자를 구토하게 해서는 안된다.
출혈이 있을 때

- 출혈 부위를 깨끗한 천으로 덮고 강하게 누르고 붕대나 반창고를 이용 지혈시킨다.
- 골절되지 않았다면 손을 심장 위로 올린다.
감전 되었을 경우

- 환자를 만지지 말고 플러그를 뽑거나 전원을 차단한다.
- 필요시 인공호흡을 시키고 쇼크에 대비한다.
쇼크를 받은 경우

- 의식을 잃은 환자의 혈액순환을 위해 옆으로 눕힌다.
- 목이나 척추를 다친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환자를 움직 여서는 안된다.
- 즉시 병원으로 옮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도시안전과
- 연락처 : 051-665-4647
최근수정일 : 202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