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 통합사례관리사업

통합사례관리사업

통합사례관리사업이란?

지역사회 공공․민간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지원체계를 토대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복지․보건․고용․주거․교육․신용․법률 등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계 ․ 제공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상담·모니터링 해나가는 사업

통합사례관리사업의 대상

  •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경제, 주거, 건강 등)가 있어 도움이 필요한 주민

서비스 지원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이미지 크게보기 서비스 지원 절차표입니다.. 내용은 다음으로 대체합니다.
  1. 대상자발굴
  2. 조기상담(읍면동)
  3. 대상자접수
  4. 욕구 및 위기도 조사
  5. 사례회의 개최
  6. 대상자구분 및 선정
  7.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8. 서비스제공 및 점검
  9. 종결
  10. 사후관리(읍면동)

대상자접수에서 욕구 및 위기도조사까지 10일 내외로 걸림, 사례회의 개최에서 대상자구분 및 선정까지 5일 내외로 거림, 서비스제공계획 수립은 15일 내외로 걸림, 대상자접수에서 서비스제공계획 수립까지 30일 내외 걸립니다.

※ 사례관리 대상가구, 서비스 연계 대상가구로 선정하여 복지서비스 지원

어떤 서비스가 연계되나요?

이미지 크게보기 업무흐름도입니다. 내용은 다음으로 대체합니다.
  • 희망복지지원단 서비스 연계는 총 8개입니다.

    복지

    1. 사회복지서비스 연계/개별사례관리사업 연계 (사회복지관,지역아동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재가복지센터,자원보앗단체 등)

    보건

    1. 보건의료서비스 연계 (보건소,정신보건-알콜상담, 센터,건보공단,지역 내 병원)

    교육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방과후 서비스,대학등록금 대출서비스 연계(교육청)

    기타

    1. 법률지원서비스/사회서비스 연계 (법률구조공단,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고용

    1. 일자리제공서비스 연계 (고용센터, 시군구 일자리센터)

    주거

    1. 주거서비스,집수리사업 등 주거관련서비스 연계 (내공사,지역자활센터)

    신용

    1. 신용회복지원 서비스/ 대출서비스 연계 (신용보증기금,신용 회복위원회, 미소금융,햇살론)

    자활

    1. 자활서비스 연계 (시군구 자활고용팀,고용센터,지역자활센터)

위기가구발굴지원 홍보영상

위기가구 발굴지원 Audio Script (Narration)


[ Opening ]
굽어진 골목길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곳곳에 놓인 사연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식사는 잘 챙기고 있는지, 불편한 곳은 없는지, 생활은 어렵지 않을지.
바쁜 일상에 지나치기 쉬운 풍경이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각각의 사연을 발견할 수 있죠.
그리고 이곳엔, 저마다의 사연을 찾고 듣고 살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루에도 수 차례, 이웃의 사연을 듣고 살피는 윤홍씨.
현수씨는 오늘도 부지런한 걸음으로 이웃을 찾아 나서고요.
민희씨는 그 누구보다 일찍 아침을 맞이하죠.
이웃을 위해 하루를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주윤홍 이야기 ]
저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주윤홍이구요.
“아, 네 어르신 안녕하세요.“
양천구에 발령받아서 벌써 23년 되었네요.
한곳에서 오래 일하다 보니까 주민분들하고 친구처럼 이웃처럼 혹은 가족처럼 그렇게 지내고 있죠.
-어르신 1-
복지 멤버쉽 그거 어떻게 하는 거예요?
-어르신 2-
집에 자꾸 물이 새는데.
-어르신 3-
그냥 보고 싶어서 왔어!
저희가 하는 일은 어려움에 처한 분들,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찾아내서 복지 울타리로 들어오게 만드는 거예요.
그런데 몰라서 도움을 못 받는 분들이 너무 많으세요.
그런 분들을 찾는 것도 저의 역할이죠.
신고를 받고 방문하는 날에는 항상 긴장을 해요.
이웃이나 가족에게 내 처지를 말하는 게 부담되고 창피해서 결국은 극단적인 상황까지 가기도 하는데요.
그분들이 어떻게 하면 그전에 복지제도 안으로 들어오게 만들까? 그게 늘 고민이죠.
”주거 생계 의료 건강 여러 분야에서 어려움이 있으시면...”
어디서 어떻게 도움을 청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에게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어요.
주민센터 문턱 정말 낮거든요. 고민하지 말고 들어오세요.
오다 가다 언제든 들러주세요. 항상 여기 있습니다.
더 많은 이웃이 복지 울타리에서 더 안전하길 바라는 윤홍씨의 바람, 꼭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통합사례관리사 남현수 이야기 ]
저는 시청에서 13년째 통합사례관리사로 일하고 있는 남현수라고 합니다. 청일점입니다.
“건강은 좀 어떠신지?“
나이가 많이 있으신 분들이라서 전부 다 제 인생에 선배님이라 생각을 하고.
”진짜 오랜만에 전화하셨네요. 건강은요?”
저희들이 하는 일은 말 그대로 위기가구 발굴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될 거 같고.
일단 전화를 드리고, 집에 계신지 확인도 하고, 방문해서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을 확인을 하죠.
실제로 찾아가면 많이 반겨주시고 자식보다도 더 자식처럼 더 많이 챙겨주시는 거 같아서,
“정신 보건팀이랑 방문 간호팀...“
위기가구를 방문하고 나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정보를 드려야 할지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필요한 자원들은 연계합니다.
마음이 아픈 분들은 공감해드리고, 치료가 필요한 분들은 치료를 해드리고, 청소도 하고, 이사할 집도 알아봐 드립니다.
일이요? 쉽다면 거짓말이죠. 그런데 마음은 즐거운 거 같습니다.
여기서 만난 분들이 꼭 제 어머니 같고, 아버지 같고. 이일을 하는 동안에 한 분이라도 더 찾아 뵙고 싶어요. 정말로 그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르신 오늘 불편한 데는 없으셨고요?”
진심을 나누면 희망이 된다고 믿는 현수씨의 하루를 응원합니다.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조민희 이야기 ]
저는 여기 상도동에 사는 조민희입니다.
매일 주민들과 만나잖아요.
오늘은 별일이 없는지, 혹시 또 아프신 분들이 안 계시는지, 이렇게 안부인사 나누면서 하루에 일과를 시작하죠.
저희 동네는 저 말고도요 소식통들이 많이 계세요.
-세탁소 김사장님이거 왜 코트 안 찾아가지?
-세탁소 사모님한번 연락 좀 한 번 해봐!
상도동에 그 마당발이라고 강사장님 계시고요.
-요구르트 매니저304호분 이상하네 요쿠르트가 그대로 있어.
그리고 아침저녁으로 이웃 안부 챙기시는 한여사님도 계시고요. 항상 마음들을 써주시죠.
우리 바로 옆에 사는 이웃들이잖아요. 혼자 사시는 분들이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항상 누가 옆에 있다고 좀 알고 계셨으면 좋겠고요.
-세탁소 김사장님혼자 힘으로는 어렵죠.
-요쿠르트 매니저많은 분들이 관심 가져 주시면.
-조민희씨다같이 행복해지지 않겠어요?
그게 이웃이잖아요. 이웃을 위한 선한 마음들이 더 멀리 퍼질 수 있길 바라는 민희씨를 응원합니다.


[ Ending ]
이웃의 사연을 찾고 듣고 살피는 사람들이 있기에 우리가 사는 골목이, 마을이, 세상이 든든해 집니다.
보이지 않기에 더욱 빛나는 이들과 함께하고 싶지 않으세요?
찾고, 듣고, 알려주세요. 이웃을 지키는 일은 그렇게 시작됩니다.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복지정책과
  • 연락처 : 051-665-4521

최근수정일 : 2023-07-2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